패시브인컴 / 애드센스 방문자 수에 따른 월 수익 평균
다들 패시브인컴이란 단어 들어보셨나요?
패시브인컴이란 (Passive Income) 우리나라 말로는 불로소득과 비슷한 의미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수입이 되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순수 노동으로 벌어들이는 액티브인컴 (Active income)과 반대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종종 부업과 같은 다른 수입원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산업이 발전하고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사람이 자고 있는 순간에도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모델을 말 합니다.
많은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이나,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 모두 이 패시브인컴이 액티브인컴을 웃돌게 되는 순간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런 티스토리와 같은 블로그와 애드센스 광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 패시브인컴을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 블로그와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시스템을 이용하여 월 수익을 얼마까지 올릴 수 있을까요?
평균 일 방문자 수에 따른 평균 월 수익은 어느정도가 될까요?
일 방문자 수 | 하루평균 수익 (달러) | 한달평균 수익 (달러) |
1000 | 2 | 60 |
2000 | 5 | 150 |
3000 | 9 | 270 |
4000 | 14 | 420 |
5000 | 20 | 600 |
위의 데이터는 인터넷 서핑하며 알게된 데이터인데요, 2020년 정도의 값 입니다. 현재는 많이 다를 수 있고, 블로그 글의 테마, 방문자의 나이, 성별, 모바일이나 PC 등에 의해서 그 값은 크게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PC로 블로그를 방문하는 경우 광고를 차단하는 기능이 있을뿐더러 페이지 내에 광고가 포함된 영역이 작고 클릭을 하게되는 확률이 낮을 수 있지만, 모바일로 접속하는 경우 광고가 화면을 가득 채울수도 있고, 방문자가 실수로 광고를 클릭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방문자 수에 따른 수익률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국가(country tiear)에 따라서도 큰 차이가 있다고 하니 참고로만 봐 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아래의 사이트는 영문으로 된 사이트이지만, 예상되는 월 수익을 계산해 주는 사이트 입니다.
작성자의 지역과 글의 테마 {Country tier (어느 지역), Category (게임&여행 등)의 테마} 등을 통해 월 방문자 수에 따른 월 수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그 외에 변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참고치로만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우리 대한민국은 Tier 2 countries에 포함되어 있네요.
https://snigel.com/blog/adsense-revenue-calculator
AdSense Revenue Calculator Tool: Estimate Your Earnings (2023)
Free AdSense revenue calculator - find out how much money your website can make. This tool uses data from Google.
snigel.com
블로그를 2~3개씩 운영하는 분들도 계시고 유튜브를 통해 어마어마한 수익을 올리고 계신분들도 있을 것 입니다. 저 또한 그러한 패시브인컴을 키워서 경제적인 자유를 얻고자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이 글을 방문하신 분들도 같은 목표를 갖고 계실 것으로 예상하는데요, 다들 블로그 열심히 키워서 한량처럼 살게되는 날이 오기를 응원합니다.